Skip to content

INC-48302 lob select 주의 사항 #520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Merged
merged 9 commits into from
Apr 2, 2024
Merged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35 changes: 19 additions & 16 deletions Manuals/Altibase_7.1/kor/CLI User's Manual.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6890,13 +6890,18 @@ SQLTransact(SQL_NULL_HENV, dbc, SQL_COMMIT);

### LOB 데이터 처리 방식

#### LOB 위치 입력기(LOB Locator)
Altibase는 CLI에서 LOB데이터를 처리하기위해 LOB 위치 입력기(LOB Locator)를 이용한다. LOB Locator는 LOB 데이터에 대응되는 고유값으로 Altibase 서버의 내부 자료구조이다. LOB 데이터를 연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LOB Locator를 획득해야 하며, 이를 통해 LOB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다. LOB Locator는 MVCC와 관련하여 특정 시점의 LOB 데이터를 가리키기 때문에 LOB Locator를 발생시킨 트랜잭션과 생명주기를 같이하며, 그 트랜잭션에 종속된다.

CLI의 일부 함수에서 LOB 데이터를 처리할 때 LOB 위치 입력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LOB 위치 입력기를 이용한 LOB 데이터 처리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자동 커밋 모드 해제

LOB 위치 입력기는 트랜잭션에 종속적이기 때문에 **CLI에서 LOB 위치 입력기를 이용하여 LOB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반드시 자동 커밋 모드를 해제해야 한다.**

LOB 위치 입력기는 LOB 데이터를 가리키는 Altibase 서버의 내부 자료구조이며 트랜잭션에 종속된다.
자동 커밋 모드를 해제하면 LOB 위치 입력기를 얻어오는 CLI 함수와 LOB 데이터를 읽고 쓰는 CLI 함수는 하나의 트랜잭션내에서 개별 작업으로 동작되어 LOB 위치 입력기를 공유할 수 있다. 반면, 자동 커밋 모드에서는 개별 트랜잭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두 트랜잭션 간에 LOB 위치 입력기를 공유할 수 없다.

> **LOB 위치 입력기를 이용한 트랜잭션 커밋 시 주의사항**

CLI에서 LOB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은 LOB 위치 입력기를 얻는 작업과 LOB 위치 입력기를 이용하여 LOB 데이터를 읽고 쓰는 작업으로 나뉜다.
1. 자동 커밋 해제 모드에서 LOB 데이터를 읽고 쓰는 CLI 함수 수행 중 예상치 못한 에러가 발생하면, 내부적으로 초기화된 데이터가 남아 있을 수 있어 **반드시 트랜잭션을 롤백해야 한다.**
2. NOT NULL 제약이 있는 LOB 타입 컬럼에 NULL 값을 INSERT 혹은 UPDATE 수행하면 [Unable to insert (or update) NULL into NOT NULL column.] 에러가 발생한다. 이 경우 초기화된 데이터가 남아 있어 **반드시 트랜잭션을 롤백해야 한다.**

#### LOB 위치 입력기 얻기

Expand All @@ -6918,24 +6923,22 @@ LOB 위치 입력기를 얻은 후에 이것을 이용하여 LOB 데이터를
- SQLPutLob
- SQLTrimLob

#### 자동 커밋 모드 해제

LOB 위치 입력기는 트랜잭션에 종속적이기 때문에 **CLI에서 LOB 위치 입력기를 이용하여 LOB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반드시 자동 커밋 모드를 해제해야 한다.**
#### LOB 데이터의 조회(SELECT)

자동 커밋 모드에서 LOB 위치 입력기를 얻어오는 CLI 함수와 LOB 데이터를 읽고 쓰는 CLI 함수는 각각 하나의 트랜잭션이기 때문에 두 트랜잭션 간에 LOB 위치 입력기를 공유할 수 없다. 반면, 자동 커밋 모드를 해제하면 LOB 위치 입력기를 얻어오는 CLI 함수와 LOB 데이터를 읽고 쓰는 CLI 함수는 하나의 트랜잭션에서 개별 작업이 되며 LOB 위치 입력기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작업의 성공 여부에 따라 트랜잭션을 커밋할 때 SQL 수행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LOB 데이터를 SELECT 할때, 내부적으로는 LOB Locator를 얻어와서 처리되기 때문에 연관된 트랜잭션이 열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명시적으로 commit 또는 rollback과 같은 트랜잭션 종료 작업을 추가로 해주어야 한다.

> **LOB 위치 입력기를 이용한 트랜잭션 커밋 시 주의사항**
> [!CAUTION]
>
> 만약,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commit 또는 rollback 과 같은 트랜잭션 종료 작업을 하지 않으면, 데이터베이스의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 예시는 LOB 칼럼을 가진 테이블에 INSERT, UPDATE 문을 수행할 때 해당한다.
#### 자원 해제하기

아래 표의 `결과 1`에서 커밋을 수행하면, LOB 타입 칼럼이 있는 레코드는 LOB 타입 칼럼이 널 값으로 반영될 수 있다. LOB 타입 칼럼의 값이 널 상태로 남기지 않으려면 **반드시 트랜잭션을 롤백해야 한다.**
LOB 데이터와 관련한 작업이 완료된 경우, 관련된 자원을 해제해주어야 한다. 관련 CLI 함수는 아래와 같다.

LOB 타입 칼럼에 NOT NULL 제약조건이 정의되어 있다면 `결과 2`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는 에러가 발생하고 부분 롤백 되므로 CLI에서 LOB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없다.
* [SQLFreeLob](#sqlfreelob)
* [SQLEndTran](#sqlendtran)

| 개별 작업 순서 | 개별 작업 | CLI 함수 | 결과 1 | 결과 2 |
| :------------: | :---------------------------------- | :---------------------------- | :----: | :----: |
| 1 | LOB 위치 입력기를 얻어오는 CLI 함수 | SQLBindParameter / SQLExecute | 성공 | 실패 |
| 2 | LOB 데이터를 읽고 쓰는 CLI 함수 | SQLPutLob | 실패 | - |
SQLFreeLob 함수는 Lob Locator와 관련된 자원을 해제할 뿐, 트랜잭션을 종료하지는 않는다.

### LOB 데이터 타입

Expand Down
21 changes: 14 additions & 7 deletions Manuals/Altibase_7.1/kor/JDBC User's Manual.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2972,11 +2972,14 @@ while(sRs.next())

##### BLOB 데이터 읽기

LOB 데이터를 읽을 때, 내부적으로는 Lob Locator를 이용하기 때문에 반드시 commit 또는 rollback과 같은 명시적인 트랜잭션 종료 작업을 추가해야 한다.

###### 1. InputStream 객체와 getBinaryStream 메소드를 사용한 방법

```
```java
...
PreparedStatement sPstmt = connection().prepareStatement("SELECT BLOB_COLUMN
sCon = getConnection();
PreparedStatement sPstmt = sCon.prepareStatement("SELECT BLOB_COLUMN
FROM BLOB_TABLE");
ResultSet sRs = sPstmt.executeQuery();
while(sRs.next())
Expand All @@ -2986,15 +2989,17 @@ while(sRs.next())
...
}
...
sCon.commit();
```



###### 2. getBlob 메소드와 InputStream 객체를 사용한 방법

```
```java
...
PreparedStatement sPstmt = connection().prepareStatement("SELECT BLOB_COLUMN
sCon = getConnection();
PreparedStatement sPstmt = sCon.prepareStatement("SELECT BLOB_COLUMN
FROM BLOB_TABLE");
ResultSet sRs = sPstmt.executeQuery();
while(sRs.next())
Expand All @@ -3005,17 +3010,19 @@ while(sRs.next())
...
}
...
sCon.commit();
```



###### 3. getBlob 메소드와 byte 배열을 사용한 방법

```
```java
...
final int sReadLength = 100;

PreparedStatement sPstmt = connection().prepareStatement("SELECT BLOB_COLUMN FROM BLOB_TABLE");
sCon = getConnection();
PreparedStatement sPstmt = sCon.prepareStatement("SELECT BLOB_COLUMN FROM BLOB_TABLE");

ResultSet sRs = sPstmt.executeQuery();

Expand All @@ -3034,8 +3041,8 @@ while(sRs.next())
}
...
}

...
sCon.commit();
```


Expand Down
31 changes: 21 additions & 10 deletions Manuals/Altibase_7.3/kor/CLI User's Manual.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6900,13 +6900,18 @@ SQLTransact(SQL_NULL_HENV, dbc, SQL_COMMIT);

### LOB 데이터 처리 방식

#### LOB 위치 입력기(LOB Locator)
Altibase는 CLI에서 LOB데이터를 처리하기위해 LOB 위치 입력기(LOB Locator)를 이용한다. LOB Locator는 LOB 데이터에 대응되는 고유값으로 Altibase 서버의 내부 자료구조이다. LOB 데이터를 연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LOB Locator를 획득해야 하며, 이를 통해 LOB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다. LOB Locator는 MVCC와 관련하여 특정 시점의 LOB 데이터를 가리키기 때문에, LOB Locator를 발생시킨 트랜잭션과 생명주기를 같이하며, 그 트랜잭션에 종속된다.

CLI의 일부 함수에서 LOB 데이터를 처리할 때 LOB 위치 입력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LOB 위치 입력기를 이용한 LOB 데이터 처리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자동 커밋 모드 해제

LOB 위치 입력기는 트랜잭션에 종속적이기 때문에 **CLI에서 LOB 위치 입력기를 이용하여 LOB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반드시 자동 커밋 모드를 해제해야 한다.**

LOB 위치 입력기는 LOB 데이터를 가리키는 Altibase 서버의 내부 자료구조이며 트랜잭션에 종속된다.
자동 커밋 모드를 해제하면 LOB 위치 입력기를 얻어오는 CLI 함수와 LOB 데이터를 읽고 쓰는 CLI 함수는 하나의 트랜잭션내에서 개별 작업으로 동작되어 LOB 위치 입력기를 공유할 수 있다. 반면, 자동 커밋 모드에서는 각각의 개별 트랜잭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두 트랜잭션 간에 LOB 위치 입력기를 공유할 수 없다.

CLI에서 LOB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은 LOB 위치 입력기를 얻는 작업과 LOB 위치 입력기를 이용하여 LOB 데이터를 읽고 쓰는 작업으로 나뉜다.
> **LOB 위치 입력기를 이용한 트랜잭션 커밋 시 주의사항**

1. 자동 커밋 해제 모드에서 LOB 데이터를 읽고 쓰는 CLI 함수 수행 중 예상치 못한 에러가 발생하면, 내부적으로 초기화된 데이터가 남아 있을 수 있어 **반드시 트랜잭션을 롤백해야 한다.**
2. NOT NULL 제약이 있는 LOB 타입 컬럼에 NULL 값을 INSERT 혹은 UPDATE 수행하면 [Unable to insert (or update) NULL into NOT NULL column.] 에러가 발생한다. 이 경우 초기화된 데이터가 남아 있어 **반드시 트랜잭션을 롤백해야 한다.**

#### LOB 위치 입력기 얻기

Expand All @@ -6928,16 +6933,22 @@ LOB 위치 입력기를 얻은 후에 이것을 이용하여 LOB 데이터를
- SQLPutLob
- SQLTrimLob

#### 자동 커밋 모드 해제
#### LOB 데이터의 조회(SELECT)

LOB 위치 입력기는 트랜잭션에 종속적이기 때문에 **CLI에서 LOB 위치 입력기를 이용하여 LOB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반드시 자동 커밋 모드를 해제해야 한다.**
LOB 데이터를 SELECT 할때, 내부적으로는 LOB Locator를 얻어와서 처리되기 때문에 연관된 트랜잭션이 열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명시적으로 commit 또는 rollback과 같은 트랜잭션 종료 작업을 추가로 해주어야 한다.

자동 커밋 모드를 해제하면 LOB 위치 입력기를 얻어오는 CLI 함수와 LOB 데이터를 읽고 쓰는 CLI 함수는 하나의 트랜잭션에서 개별 작업이 되어 LOB 위치 입력기를 공유할 수 있다. 반면, 자동 커밋 모드에서는 각각의 개별 트랜잭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두 트랜잭션 간에 LOB 위치 입력기를 공유할 수 없다.
> [!CAUTION]
>
> 만약,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commit 또는 rollback 과 같은 트랜잭션 종료 작업을 하지 않으면, 데이터베이스의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 **LOB 위치 입력기를 이용한 트랜잭션 커밋 시 주의사항**
#### 자원 해제하기

1. 자동 커밋 해제 모드에서 LOB 데이터를 읽고 쓰는 CLI 함수 수행 중 예상치 못한 에러가 발생하면, 내부적으로 초기화된 데이타가 남아 있을 수 있어 **반드시 트랜잭션을 롤백해야 한다.**
2. NOT NULL 제약이 있는 LOB 타입 컬럼에 NULL 값을 INSERT 혹은 UPDATE 수행하면 [Unable to insert (or update) NULL into NOT NULL column.] 에러가 발생한다. 이 경우 초기화된 데이터가 남아 있어 **반드시 트랜잭션을 롤백해야 한다.**
LOB 데이터와 관련한 작업이 완료된 경우, 관련된 자원을 해제해주어야 한다. 관련 CLI 함수는 아래와 같다.

* [SQLFreeLob](#sqlfreelob)
* [SQLEndTran](#sqlendtran)

SQLFreeLob 함수는 Lob Locator와 관련된 자원을 해제할 뿐, 트랜잭션을 종료하지는 않는다.

### LOB 데이터 타입

Expand Down
42 changes: 28 additions & 14 deletions Manuals/Altibase_7.3/kor/JDBC User's Manual.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2908,11 +2908,14 @@ while(sRs.next())

##### BLOB 데이터 읽기

LOB 데이터를 읽을 때, 내부적으로는 Lob Locator를 이용하기 때문에 반드시 commit 또는 rollback과 같은 명시적인 트랜잭션 종료 작업을 추가해야 한다.

###### 1. InputStream 객체와 getBinaryStream 메소드를 사용한 방법

```
```java
...
PreparedStatement sPstmt = connection().prepareStatement("SELECT BLOB_COLUMN
sCon = getConnection();
PreparedStatement sPstmt = sCon.prepareStatement("SELECT BLOB_COLUMN
FROM BLOB_TABLE");
ResultSet sRs = sPstmt.executeQuery();
while(sRs.next())
Expand All @@ -2922,15 +2925,17 @@ while(sRs.next())
...
}
...
sCon.commit();
```



###### 2. getBlob 메소드와 InputStream 객체를 사용한 방법

```
```java
...
PreparedStatement sPstmt = connection().prepareStatement("SELECT BLOB_COLUMN
sCon = getConnection();
PreparedStatement sPstmt = sCon.prepareStatement("SELECT BLOB_COLUMN
FROM BLOB_TABLE");
ResultSet sRs = sPstmt.executeQuery();
while(sRs.next())
Expand All @@ -2941,17 +2946,19 @@ while(sRs.next())
...
}
...
sCon.commit();
```



###### 3. getBlob 메소드와 byte 배열을 사용한 방법

```
```java
...
final int sReadLength = 100;

PreparedStatement sPstmt = connection().prepareStatement("SELECT BLOB_COLUMN FROM BLOB_TABLE");
sCon = getConnection();
PreparedStatement sPstmt = sCon.prepareStatement("SELECT BLOB_COLUMN FROM BLOB_TABLE");

ResultSet sRs = sPstmt.executeQuery();

Expand All @@ -2970,8 +2977,8 @@ while(sRs.next())
}
...
}

...
sCon.commit();
```


Expand Down Expand Up @@ -3250,11 +3257,14 @@ while(sRs.next())

##### CLOB 데이터 읽기

LOB 데이터를 읽을 때, 내부적으로는 Lob Locator를 이용하기 때문에 반드시 commit 또는 rollback과 같은 명시적인 트랜잭션 종료 작업을 추가해야 한다.

###### 1. Reader 객체와 getCharacterStream 메소드를 사용한 방법

```
```java
...
PreparedStatement sPstmt = connection().prepareStatement("SELECT CLOB_COLUMN FROM CLOB_TABLE");
sCon = getConnection();
PreparedStatement sPstmt = sCon.prepareStatement("SELECT CLOB_COLUMN FROM CLOB_TABLE");

ResultSet sRs = sPstmt.executeQuery();

Expand All @@ -3265,15 +3275,17 @@ while(sRs.next())
...
}
...
sCon.commit();
```



###### 2. Reader 객체 와 getClob 메소드를 사용한 방법

```
```java
...
PreparedStatement sPstmt = connection().prepareStatement("SELECT CLOB_COLUMN FROM CLOB_TABLE");
sCon = getConnection();
PreparedStatement sPstmt = sCon.prepareStatement("SELECT CLOB_COLUMN FROM CLOB_TABLE");

ResultSet sRs = sPstmt.executeQuery();

Expand All @@ -3285,17 +3297,19 @@ while(sRs.next())
...
}
...
sCon.commit();
```



###### 3. getClob 메소드와 String 객체를 사용한 방법

```
```java
...
final int sReadLength = 100;

PreparedStatement sPstmt = connection().prepareStatement("SELECT CLOB_COLUMN FROM CLOB_TABLE");
sCon = getConnection();
PreparedStatement sPstmt = sCon.prepareStatement("SELECT CLOB_COLUMN FROM CLOB_TABLE");

ResultSet sRs = sPstmt.executeQuery();

Expand All @@ -3314,8 +3328,8 @@ while(sRs.next())
}
...
}

...
sCon.commit();
```


Expand Down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