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ity
refactor(Lecture): 파일 끝 개행 추가
refactor(Lecture): 파일 끝 개행 추가
refactor(LectureSelectResponseDto): credit 정보 추가
refactor(LectureSelectResponseDto): credit 정보 추가
environment: 컨테이너 실행 시 8080포트로 포트포워딩 하도록 변경(prod)
environment: 컨테이너 실행 시 8080포트로 포트포워딩 하도록 변경(prod)
environment: 도커 컨테이너 실행시 8080 포트로 포트포워딩 되도록 변경
environment: 도커 컨테이너 실행시 8080 포트로 포트포워딩 되도록 변경
environment: 테스트 코드가 없음에 따른 불필요한 테스트 클래스 삭제
environment: 테스트 코드가 없음에 따른 불필요한 테스트 클래스 삭제
environment: Jenkinsfile, Dockerfile 수정
environment: Jenkinsfile, Dockerfile 수정
Force push
environment: 테스트 코드가 없음에 따른 불필요한 테스트 클래스 삭제
environment: 테스트 코드가 없음에 따른 불필요한 테스트 클래스 삭제
environment: PR시 동작하는 github Actions 파일 작성
environment: PR시 동작하는 github Actions 파일 작성
environment: env에서 domain_name 삭제
environment: env에서 domain_name 삭제
environment: actuator 접근시 IP로 접근하도록 변경
environment: actuator 접근시 IP로 접근하도록 변경
environment: 8080포트로 포트포워딩 하도록 변경
environment: 8080포트로 포트포워딩 하도록 변경
environment: 헬스체크시 https로 redirect할 수 있도록 변경
environment: 헬스체크시 https로 redirect할 수 있도록 변경
environment: actuator 접근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도록 변경
environment: actuator 접근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도록 변경
environment: env에 domain-name 추가
environment: env에 domain-name 추가
environment: nginx network 추가
environment: nginx network 추가
environment: actuator 추가
environment: actuator 추가
environment: 헬스체크 단계에서 Basic 인증 제거
environment: 헬스체크 단계에서 Basic 인증 제거
environment: 헬스체크에서 Basic 인증을 사용하지 않도록 변경
environment: 헬스체크에서 Basic 인증을 사용하지 않도록 변경
environment: Dockerfile Expose 8080으로 변경
environment: Dockerfile Expose 8080으로 변경
environment: Time 전용 슬랙 알림 문구 변경
environment: Time 전용 슬랙 알림 문구 변경
environment: 빌드 단계에서 테스트 단계는 제외하도록 변경
environment: 빌드 단계에서 테스트 단계는 제외하도록 변경
environment: 테스트 슬랙 알림 문구 변경
environment: 테스트 슬랙 알림 문구 변경
environment: staging용 Jenkinsfile 설정 변경
environment: staging용 Jenkinsfile 설정 변경
environment: staging용 Jenkinsfile 설정 변경
environment: staging용 Jenkinsfile 설정 변경
environment: staging Dockerfile 작성
environment: staging Dockerfile 작성